대한민국 이재명 대통령 각하
친애하는 대통령께,
당신에게 이 서한을 보내는 건 큰 영광입니다. 이 서한은 우리 무역 관계의 힘과 이에 대한 헌신, 그리고 미국이 위대한 국가 한국과의 무역에서 상당한 적자를 보고 있음에도 계속 협력하는 데 동의했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우리는 보다 균형 있고 공정한 무역이라는 전제 하에 당신의 국가와 함께 앞으로 나아가기로 결정했습니다, 우리는 미국의 특별한 경제, 세계 제1의 시장에 귀 국가의 참여를 초대합니다. 우리는 수년간 한국과의 무역 관계를 논의해 왔습니다. 그리고 한국의 관세 및 비관세, 정책, 무역 장벽으로 인해 오랜 기간 지속돼 온 무역 적자를 해소하려면 이제는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불행하게도 우리의 무역 관계는 상호주의와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2025년 8월 1일부터 우리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한국산 제품에 대해 부문별 관세와는 별도로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입니다. 더 높은 관세를 피할 목적으로 환적된 상품에는 더 높은 관세가 적용될 것입니다. 25%라는 숫자는 귀 국가와의 무역 적자 격차 해소를 위해 필요한 수준에 크게 못 미치는 수치라는 점을 이해해주시기를 바랍니다. 아시다시피, 한국이나 한국 기업이 미국 내에서의 제품 제조 및 조립을 결정한다면 관세가 전혀 부과되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필요한 승인 절차를 신속하면서도 전문적으로, 그리고 일상적으로, 즉 몇 주 안에 처리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입니다.
만약 어떤 이유에서든 당신이 미국에 대한 관세를 올리기로 결정한다면 당신이 관세를 얼마나 올리기로 선택하든 우리가 한국에 부과한 25%에 그만큼이 더 추가될 것입니다. 이런 관세가 한국의 오랜 관세 및 비관세, 정책, 무역 장벽으로 인해 발생한 지속 불가능한 무역 적자를 바로잡기 위한 조치라는 점을 이해해주시기를 바랍니다. 이러한 적자는 우리의 경제, 그리고 국가 안보에 주요한 위협입니다.
우리는 앞으로도 오랫동안 귀 국가와 무역 파트너로서 함께 협력해 나가기를 기대합니다. 만약 귀 국가가 지금까지 폐쇄돼 있던 무역 시장을 미국에 개방하고, 귀 국가의 관세 및 비관세, 정책, 무역 장벽을 제거하기를 원한다면 우리는 이 서한에 대한 조정을 고려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관세는 우리와 귀 국가와의 관계에 따라 올라가거나 내려갈 수 있습니다. 당신이 미국에 실망할 일은 결코 없을 것입니다. 이 문제에 관심을 기울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부를 전하며, 진심으로
도널드 트럼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