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경제 현황과 전망
상태바
아프리카 경제 현황과 전망
  • 이성우 전문기자
  • 승인 2020.07.11 11: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과 협력 방안 모색
아프리카의원외교포럼 설훈 의원/회장

아프리카의 경제 현황과 전망을 통한 한국과 협력 방안에 관한 내용이 아침 07:30부터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국회아프리카의원외교회원들과 외교부,한.아프리카재단,유니세프,세계문화경제포럼 및 관련단체 등 약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조찬 포럼이 진행되었다.

아프리카는 크게 두 지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 북아프리카 5개국(백인,이슬람교가 많고,석유,천연가스가 풍부),블랙아프리카 49개국(흑인,가독교가 많고,코발크,석유,금,다이아몬드 등 풍부)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프리카,영국과 프랑스가 대부분 분할 형태인데 1884년 베를린회의에서 아프리카분할 식민지배로 인위적인 국경 분할과 부족,왕국,역사적으로 연결된 지역을 갈라 놓아 오늘날까지도 분쟁으로 이어지고 있다.

유럽의 착취경제로 자원수탈경제,공산품 판매시장이 가속화 되고 노예 삼각무역으로 1960년 이후 대부분 독립을 선언하였다. 부정적인 인식에서 가능성이 엿보이는 대륙으로 인식되고 있는 아프리카는 대륙면적이 3,037km2,54개국,13억명,인어/부족 1,500개-3,000개,빈곡률 40%,전체 GDP25달러(전세계의 27%),평균수명 남61세,여64세,부존자원 전세계 30% 보유하고 있으며,일부 지역에서의 정치 불안은 여전하다.전 세계 PKO요원 80% 아프리카에서 전개되고 있다.

90년대에 비해 분쟁과 내전이 많이 감소하였지만,일부 지역은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이다.지난 10년간 안보리 결의안 중 약 50%는 아프리카 관련 사항이다. 자원부국 보다 비자원 의존형 국가들이 성장을 주도하고 있는 현실이다.

지난 10년간 (‘07-17년)연평균 5.5%고성장을 이루었지만,최근 자원가격 하락으로 위축되고 있는 실정이다 글로벌 경제위축과 미.중 무역전쟁 그리고 신흥국 환율불안 등으로 아프리카 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19년 전년과 비슷한 3.4%성장, ‘20년 코로나 19 및 유가 하락 등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전망하고 있다.)

주요국가들의 경제성장 현황을 보면 에티오피아,가나,코트디부아르 등 제조업과 인프라 투자 등 비자원 경제주도 국가들의 성장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에티오피아:FDI 비중 중 제조업(섬유,휴대폰 등)이 70%차지하고 있으며,코트디부아르:제조업(농산물 가공) 및 인프라투자(항만 등 확대하고 있다) 인구 및 소득수준 향상으로 소비시장 성장 전망차원에서는 ’19년 7월 세계 최대 회원국으로 구성된 아프리카자유무역지대(AfcFTA)가 공식 출범하고 아프리카 55개 회원국 중 54개국이 가입하고 ‘20년 7월 공식 발효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로 내년으로 연기되었다.

아프리카의 외국인직접투자 유입 관련으론’19년 아프리카로 유입된 FDI 454억 달러,전년비 하락하였다.기존 자원중심 투자에서 제조업 및 건설 인프라 등 투자 분야가 다양하다. 아프리카 외국인 직접투자 현황으로는 광물가격 하락 등으로 ‘19년 외국인투자는 전년대비 10% 하락하였고 주요 투자 분야는 건설,정유화학,식음료,담배,자동차 등이며,주요 투자국은 중국,UAE,사우디,영국,미국,스위스,국가별로 보면 FDI 유입은 이집트가 90억 달러로 전년대비10% 이상 증가하며 1위,남아공이 지난해 보다 15%하락한 46억 달러로 2위,콩고공화국이 34억 달러로 3위를 차지했다.

코로나19로 아프리카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전망은 코로나19로 일자리 창출이 큰 관광산업이 큰 타격을 받을 전망이고 이밖에 FDI유입감소로 아프리카 산업화 발전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해외로부터의 송금감소는 이집트,나이지리아 등 외환부족 국가들에 큰 위협이 전망된다.

2020년 항공여객수입 60억 달러 감소,항공 및 관련산업의 일자리도 약 310만명 줄어들 전망이다.예상되었던 관광산업의 손실이 적어도 500억 달러에 달할 것이며,관광분야 종사자 중 2백만 명이 일자리를 잃을 예상이다.화석연료 수출 수익이 약 1,010억 달러 감소가 전망되며,전체 상품 수출도 약 2700억 달러에 달할 전망으로는 이는 전체 수출액의 약 35% 에 해당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